설 풍습(3) 그리움과 축복을 담은 호지糊紙 @230111 story of taiwan
타이완은 20개가 넘는 종교가 공존하는 세계에서 가장 다원적인 종교적 신념을 가진 국가 중 하나입니다. 타이완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믿고 있는 신앙은 도교, 불교, 유교가 서로 영향을 미치며 형성되고 발달하는 민간 신앙입니다. 타이완 민간 신앙에는 다양한 풍속과 관습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중 하나는 조상을 숭배하고 세상을 떠난 사람들에게 제사를 바치는 것입니다. 타이완에서는 청명절(清明節)이나 중원절(中元節), 또 설날 기간에 꼭 제사를 지내는데, 그때마다 길을 걷다 보면 길가에서 노란색 종이, 즉 지전(紙錢)을 태우는 사람들을 볼 수 있는데 이는 망자가 가져가 저승에서 돈으로 삼고 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입니다.
또 같은 목적으로 타이완인은 장례식에서도 지전을 태우는데 하지만 지전 뿐만 아니라, 조상들이 지하세계에서 더 편리하고 충족한 삶을 살 수 있게끔 타이완인들은 장례식에서 핸드폰, 자동차, 노트북 등의 모양으로 된 종이인형을 태우기도 합니다. 제사나 상례에서 사용되는 이 다양한 모양의 종이들은 타이완에서 호지(糊紙)라 부릅니다.
호지는 물에 찌고 풀을 섞은 한지를 조금씩 붙이고 말리는 과정을 반복하여 질감을 만들어내는 공예로, ‘지호(紙糊)’라고 부르기도 하고, 감을 찰(紮)자를 써서 ‘지찰(紙紮)’이라고도 부릅니다. 호지 공예의 역사는 가장 이르게는 중국 당나라 시대까지 거슬로 올라갈 수 있습니다.
전설에 따르면 당태종 이세민은 한때 의식을 잃고 혼수상태에 빠져버렸는데, 혼수상태에 빠져 있던 동안 그의 영혼은 저승으로 내려가게 돼서 거기서 여러 가난한 귀신들을 만나고 그들이 너무 불쌍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그들에게 수톤 금괴를 줄 것을 약속했습니다. 당태종은 의식을 회복한 후에 약속을 이행하고 귀신들을 위한 제사를 지냈는데 제사에서 지전 뿐만 아니라, 대나무로 뼈대를 만들어 안팎으로 종이를 붙여 만든 집 모양의 종이인형도 태웠다고 합니다. 이것은 바로 호지공예의 시작이라고 합니다.
사실은 호지는 조상 제사나 장례식에서만 쓰는 게 아닙니다. 결혼식, 돌잔치, 생일잔치와 같은 경사스러운 행사에서는 장식물로도 사용됩니다. 또 종교적인 행사에서도 호지 공예로 만든 물품을 많이 볼 수 있는데요. 예를 들면, 대형 종교 축제에서는 항상 용춤과 사자춤 퍼포먼스가 펼쳐지는데 용춤에서 쓰이는 용과 사자춤에서 쓰이는 사자 탈은 모두 호지 기술을 활용해 제작한 것입니다.
비록 호지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지만 호지 하면 사람들이 먼저 떠올리는 것은 장례식 또는 죽음이란 게 사실입니다. 그래서 타이완에서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죽음을 언급하기를 꺼리는 만큼 호지와 같은 죽음과 관련 있는 걸 역시도 꺼립니다.
이렇게 호지는 타이완에선 매우 좋게 받아들이지는 게 아니지만, 프랑스에서는 “망자에 대한 낭만적인 사랑”으로 여겨집니다. 몇 년 전에 한 프랑스의 큐레이터가 타이완 여행할 때 상제들이 아름답고 섬세한 호지 제품을 태우는 것을 보고 매우 놀랐습니다.
그는 프랑스 사람들이 꼭 이 아름다운 호지 공예물을 한번 보았으면 해서 호지 전문점인 신싱호지점(新興糊紙店)을 방문하여 그들의 제품을 2016년 ‘파리 디자이너의 날(D’Days)’ 행사에서 전시하도록 했습니다. 그리고 3년 후인 2019년 6월에는 신싱호지점은 프랑스 문화부와 중화민국 문화부의 초청으로 프랑스 케브랑리 박물관(Musée du quai Branly)에서 팰리스 파라다이스(Palace Paradise)를 제목으로 한 전시회를 열고 타이완의 호지 문화를 프랑스 사람들에게 보여줬습니다.
타이완을 대표하여 프랑스에서 전시회를 개최하며 호지 공예의 새 이정표를 세운 신싱호지점은 2013년 신베이시 전통공예가상을 수상한 장쉬페이(張徐沛)가 1950년에 신베이시 신좡(新莊)에서 설립했습니다. 전성기였던 1980년대에 10여 명 호지 사부들이 협력해야 모든 주문을 소화할 수 있을 정도로 장사가 잘됐으나 인쇄 기술의 발달로 호지 제품의 생산자동화와 양산이 가능해지면서 호지를 손으로 만드는 신싱호지점과 같은 전통 수작호지 가게는 문을 닫아야 할 정도로 심각한 경영위기를 겪은 적이 있습니다.
가족이 운영하는 호지점을 살리고, 또 호지 공예가 계속 쇠퇴하지는 않도록 장쉬페이의 딸인 장완잉(張宛瑩)과 아들인 장쉬잔(張徐展)은 만화가 친구 잔위주(詹昱筑)와 함께 신싱호지문화(新興糊紙文化)라는 조직을 창립하여 호지 공예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 호지를 단순 제품이 아닌 수준이 높은 예술품이나 유용한 문화 상품으로 승화시키는 데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들은 워크숍을 개최하여 호지에 대해 관심을 가진 사람들이 호지 제작을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예술품으로 오래 보존할 수 있는 호지 입체동화책을 만들기도 합니다.
이외에도, 신싱호지문화 창립자 중 한 명인 장쉬잔은 또한 애니메이션 디자이너인데 그는 호지 기술로 만든 인형을 활용하여 여러 편의 인형 애니메이션 영화를 제작하며 타이완의 호지 공예를 다른 형식의 예술을 통해 세계에 보여주고 있는데, 그는 2018년에 《Si So Mi》라는 애니메이션 영화로 타이완 가장 권위있는 영화시상식 금마장(金馬獎)의 최우수 단편 에니매이션 영화상 부문 후보에 올랐을 뿐만 아니라, 2020년에는 독일 최대의 상업은행이자 투자은행인 도이체뱅크(Deutsche Bank)에 의해 올해의 아티스트로 선정되고 독일에서 전시회를 연 바 있습니다.
호지는 그저 종이에 그치지 않고 망자에 대한 생자의 그리움과 촉복을 담은 선물이고, 때로는 경사스러운 일에 대한 기쁨의 축하이기도 하며 문화적인 측면 뿐만 아니라 정신적 측면에서도 굉장히 뜻깊고 소중하다고 생각하는데요.
비록 시대가 흘러가면서 호지 공예가 결국 쇠퇴하게 될 수밖에 없는 듯하지만 장씨 가족을 비롯한 호지 장인들의 노력을 통해서 호지는 새로운 생명력을 부여받고 더 다양한 형식으로, 더 가치있게 보존되고 후대에 물려줄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十分韓語故事臺灣
更新於 發佈於 閱讀時間約 8 分鐘
留言
留言分享你的想法!
story of taiwan 的沙龍
0會員
18內容數
story of taiwan 的沙龍的其他內容
2023/01/26
겨울 길거리 대표 간식 링자오와 지단가오菱角雞蛋糕 @230126 story of taiwan
꼭 먹어야 할 타이완 전통 음식부터 각 지역 특산물과 현대 감각을 더한 퓨전 타이완 음식까지 타이완을 대표하는 음식을 직접 맛보고 생생하게 전해드리는 매주 목요일 대만이야기
2023/01/26
겨울 길거리 대표 간식 링자오와 지단가오菱角雞蛋糕 @230126 story of taiwan
꼭 먹어야 할 타이완 전통 음식부터 각 지역 특산물과 현대 감각을 더한 퓨전 타이완 음식까지 타이완을 대표하는 음식을 직접 맛보고 생생하게 전해드리는 매주 목요일 대만이야기
2023/01/26
라떼는 말이지...대만의 놀토 @230126 story of taiwan
대만이야기 시간입니다.
한 때 '요즘 애들'이었지만 벌써 훌쩍 자라버린 90년대생들.
1990년대생인 저도 아직 어리다고 생각하지만 “우리 때는 이런 게 유행했었는 데”하며 한 때 인기를 끌
2023/01/26
라떼는 말이지...대만의 놀토 @230126 story of taiwan
대만이야기 시간입니다.
한 때 '요즘 애들'이었지만 벌써 훌쩍 자라버린 90년대생들.
1990년대생인 저도 아직 어리다고 생각하지만 “우리 때는 이런 게 유행했었는 데”하며 한 때 인기를 끌
2023/01/20
대만 백설기, 푸링가오茯苓糕 @230120 story of taiwan
비밀스런 임무를 수행할 때 상대방의 의심을 사지 않고 중요한 기밀 문서를 아군에게 몰래 전달하고 비밀리에 정보를 주고받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가장 손쉬운 방법은 전달하려는 비밀스런 메시지를

2023/01/20
대만 백설기, 푸링가오茯苓糕 @230120 story of taiwan
비밀스런 임무를 수행할 때 상대방의 의심을 사지 않고 중요한 기밀 문서를 아군에게 몰래 전달하고 비밀리에 정보를 주고받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가장 손쉬운 방법은 전달하려는 비밀스런 메시지를

你可能也想看
















「欸!這是在哪裡買的?求連結 🥺」
誰叫你太有品味,一發就讓大家跟著剁手手?
讓你回購再回購的生活好物,是時候該介紹出場了吧!
「開箱你的美好生活」現正召喚各路好物的開箱使者 🤩

「欸!這是在哪裡買的?求連結 🥺」
誰叫你太有品味,一發就讓大家跟著剁手手?
讓你回購再回購的生活好物,是時候該介紹出場了吧!
「開箱你的美好生活」現正召喚各路好物的開箱使者 🤩
這篇新聞是1995年在日本創刊的中文報紙東方新報的報導。
內容是說中國山東省有個曹縣,到十多年前還是個貧窮縣,現在有錢了,因為這裏是日本棺材的故鄉,也是中國扮裝漢服的故鄉。
這篇新聞是1995年在日本創刊的中文報紙東方新報的報導。
內容是說中國山東省有個曹縣,到十多年前還是個貧窮縣,現在有錢了,因為這裏是日本棺材的故鄉,也是中國扮裝漢服的故鄉。

在不長的台灣歷史當中,原住民、漢人,以及中國官府這三個角色,撐起了很大一部分的台灣歷史與文化。
什麼樣的展覽可以把全台清宮藏品最豐富的國立故宮博物院、收藏許多原住民文物的國立臺灣博物館,以及鑽研各方面的臺灣歷史的國立臺灣歷史博物館聚在一起?或從三個博物館各自的收藏與專長便可見一二。

在不長的台灣歷史當中,原住民、漢人,以及中國官府這三個角色,撐起了很大一部分的台灣歷史與文化。
什麼樣的展覽可以把全台清宮藏品最豐富的國立故宮博物院、收藏許多原住民文物的國立臺灣博物館,以及鑽研各方面的臺灣歷史的國立臺灣歷史博物館聚在一起?或從三個博物館各自的收藏與專長便可見一二。

대보름행사(3) 옌수이 봉포축제 鹽水蜂炮@230117 story of taiwan
타이완은 정월대보름이 되면 전국 각지에서 화려한 전통 향토축제를 진행합니다. 타이베이 시내를 비롯해 신베이(新北)시 핑시(平溪)의 천등(天燈) 축제, 타이둥의 한단야(寒單爺) 폭죽 축제

대보름행사(3) 옌수이 봉포축제 鹽水蜂炮@230117 story of taiwan
타이완은 정월대보름이 되면 전국 각지에서 화려한 전통 향토축제를 진행합니다. 타이베이 시내를 비롯해 신베이(新北)시 핑시(平溪)의 천등(天燈) 축제, 타이둥의 한단야(寒單爺) 폭죽 축제

대보름행사(1) 한단야 폭죽제 炮炸寒單爺@230115 story of taiwan
타이완 3대 명절 원소절(元宵節), 즉 정월대보름 3대 행사 중의 하나인 타이둥 한단야 폭죽제(臺東炮炸寒單爺)는 한단야 분장을 하는 사람, 즉 육신肉身 한단야에게 폭죽을 던지는 축제로 타

대보름행사(1) 한단야 폭죽제 炮炸寒單爺@230115 story of taiwan
타이완 3대 명절 원소절(元宵節), 즉 정월대보름 3대 행사 중의 하나인 타이둥 한단야 폭죽제(臺東炮炸寒單爺)는 한단야 분장을 하는 사람, 즉 육신肉身 한단야에게 폭죽을 던지는 축제로 타

무탈을 기원하는 설 음식, 홍궤이궈 紅龜粿@230114 story of taiwan
‘건강하세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하루에도 수십 번의 덕담을 하며 지내는 요즘.
새해를 맞는 사람들의 마음은 어디서든지 비슷한 것 같아요. 묵은해를 보내며 새로운 출발을 소

무탈을 기원하는 설 음식, 홍궤이궈 紅龜粿@230114 story of taiwan
‘건강하세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하루에도 수십 번의 덕담을 하며 지내는 요즘.
새해를 맞는 사람들의 마음은 어디서든지 비슷한 것 같아요. 묵은해를 보내며 새로운 출발을 소

설 풍습(3) 그리움과 축복을 담은 호지糊紙 @230111 story of taiwan
타이완은 20개가 넘는 종교가 공존하는 세계에서 가장 다원적인 종교적 신념을 가진 국가 중 하나입니다. 타이완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믿고 있는 신앙은 도교, 불교, 유교가 서로

설 풍습(3) 그리움과 축복을 담은 호지糊紙 @230111 story of taiwan
타이완은 20개가 넘는 종교가 공존하는 세계에서 가장 다원적인 종교적 신념을 가진 국가 중 하나입니다. 타이완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믿고 있는 신앙은 도교, 불교, 유교가 서로

牛女故事中的織女與七仙女被視為護幼的女神,閩南地區的七夕風俗則脫離牛郎織女神話傳統,轉為「七娘媽」信仰,由移民攜入臺灣後,漸進發展出地方特色。
語料來源:
語彙:
【料小】: 東西。(台灣釋義不同!)
【齊全】: tsau5-tsng5, (台灣 tsiau5-tsng5)
【脫絭】,客家用語。

牛女故事中的織女與七仙女被視為護幼的女神,閩南地區的七夕風俗則脫離牛郎織女神話傳統,轉為「七娘媽」信仰,由移民攜入臺灣後,漸進發展出地方特色。
語料來源:
語彙:
【料小】: 東西。(台灣釋義不同!)
【齊全】: tsau5-tsng5, (台灣 tsiau5-tsng5)
【脫絭】,客家用語。